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은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16개국을 가리기 위해 1968년부터 1969년까지 진행되었다. 총 75개국이 참가하여 유럽, 남미, 북중미, 아프리카,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거쳤으며, 개최국 멕시코와 전 대회 우승국 잉글랜드는 자동 진출했다. 유럽에서 8개국, 남미에서 3개국, 북중미, 아프리카, 아시아·오세아니아에서 각 1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간의 축구 전쟁,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예선 참가 등 여러 사건이 있었고, 토스탕(브라질)이 10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FIFA 월드컵 - 1970년 FIFA 월드컵 결승전
197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멕시코 시티에서 브라질이 이탈리아를 4-1로 꺾고 우승, 쥘 리메 트로피를 영구 소유, 마리우 자갈루는 선수와 감독으로 월드컵 우승을 모두 경험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 1970년 FIFA 월드컵 - 이탈리아 대 서독 (1970년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대 서독 경기는 1970년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가 4-3으로 승리하며 '세기의 경기'로 불리는 명승부 끝에 결승에 진출했다.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축구 전쟁
축구 전쟁은 1969년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간의 월드컵 예선 축구 경기 결과가 기폭제가 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이민, 경제적 불균형, 국경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막대한 피해와 함께 사회·정치적 후유증을 낳았으나, 국제 기구의 중재와 판결을 통해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 갈등을 종식시켰다.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총 3라운드로 진행되어 이스라엘이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본선에 진출하였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권은 냉전 시대 정치적 갈등이 축구에 영향을 미친 사례로 남아있다.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연도 | 1970년 |
참가 팀 수 | 75개 팀 |
대륙 연맹 | 6개 |
경기 수 | 172경기 |
득점 | 542골 |
최다 득점자 | 토스탕 (10골) |
이전 대회 |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 |
다음 대회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
2. 예선
총 75개국이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두고 경쟁을 벌였다. 전 대회 우승국인 잉글랜드와 개최국인 멕시코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여, 나머지 14장의 진출권을 두고 예선이 진행되었다.
각 대륙별 예선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유럽 (UEFA): 29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남미 (CONMEBOL): 10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북중미카리브 (CONCACAF): 12개 팀이 참가하여 1차 예선과 최종 예선을 거쳐 1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아프리카 (CAF): 11개 팀이 참가하여 1차 예선, 2차 예선, 최종 예선을 거쳐 1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아시아·오세아니아 (AFC·OFC): 7개 팀이 참가하여 1차 예선, 2차 예선, 최종 예선을 거쳐 1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몇몇 국가들은 FIFA에 의해 출전이 거절되거나 기권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