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은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16개국을 가리기 위해 1968년부터 1969년까지 진행되었다. 총 75개국이 참가하여 유럽, 남미, 북중미, 아프리카,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거쳤으며, 개최국 멕시코와 전 대회 우승국 잉글랜드는 자동 진출했다. 유럽에서 8개국, 남미에서 3개국, 북중미, 아프리카, 아시아·오세아니아에서 각 1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간의 축구 전쟁,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예선 참가 등 여러 사건이 있었고, 토스탕(브라질)이 10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FIFA 월드컵 - 1970년 FIFA 월드컵 결승전
    197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멕시코 시티에서 브라질이 이탈리아를 4-1로 꺾고 우승, 쥘 리메 트로피를 영구 소유, 마리우 자갈루는 선수와 감독으로 월드컵 우승을 모두 경험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 1970년 FIFA 월드컵 - 이탈리아 대 서독 (1970년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대 서독 경기는 1970년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가 4-3으로 승리하며 '세기의 경기'로 불리는 명승부 끝에 결승에 진출했다.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축구 전쟁
    축구 전쟁은 1969년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간의 월드컵 예선 축구 경기 결과가 기폭제가 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이민, 경제적 불균형, 국경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막대한 피해와 함께 사회·정치적 후유증을 낳았으나, 국제 기구의 중재와 판결을 통해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 갈등을 종식시켰다.
  •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총 3라운드로 진행되어 이스라엘이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본선에 진출하였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권은 냉전 시대 정치적 갈등이 축구에 영향을 미친 사례로 남아있다.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연도1970년
참가 팀 수75개 팀
대륙 연맹6개
경기 수172경기
득점542골
최다 득점자토스탕 (10골)
이전 대회1966년 FIFA 월드컵 예선
다음 대회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2. 예선

총 75개국이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두고 경쟁을 벌였다. 전 대회 우승국잉글랜드와 개최국인 멕시코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여, 나머지 14장의 진출권을 두고 예선이 진행되었다.

각 대륙별 예선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유럽 (UEFA): 29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남미 (CONMEBOL): 10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북중미카리브 (CONCACAF): 12개 팀이 참가하여 1차 예선과 최종 예선을 거쳐 1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아프리카 (CAF): 11개 팀이 참가하여 1차 예선, 2차 예선, 최종 예선을 거쳐 1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아시아·오세아니아 (AFC·OFC): 7개 팀이 참가하여 1차 예선, 2차 예선, 최종 예선을 거쳐 1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몇몇 국가들은 FIFA에 의해 출전이 거절되거나 기권하기도 했다.

2. 1. 지역 예선

출전권831111116


2. 2. 본선 진출국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1970년 FIFA 월드컵에 진출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참가 자격본선 진출 확정일통산 출전 횟수마지막 진출연속 진출 횟수역대 최고 성적
멕시코(H)개최국1964년 10월 8일719666조별 리그 (1930, 1950, 1954, 1958, 1962, 1966)
잉글랜드(C)1966년 FIFA 월드컵 우승1966년 7월 30일619666우승 (1966)
벨기에유럽 예선 6조 1위1969년 4월 30일5195411라운드 (1930, 1934, 1938, 1954)
우루과이남미 예선 3조 1위1969년 8월 10일619663우승 (1930, 1950)
브라질남미 예선 2조 1위1969년 8월 24일919669우승 (1958, 1962)
페루남미 예선 1조 1위1969년 8월 31일219301조별 리그 (1930)
엘살바도르북중미 최종 예선 1위1969년 10월 8일1첫 출전1첫 출전
스웨덴유럽 예선 5조 1위1969년 10월 15일519581준우승 (1958)
서독유럽 예선 7조 1위1969년 10월 22일719665우승 (1954)
모로코아프리카 최종 예선 1위1969년 10월 26일1첫 출전1첫 출전
소련유럽 예선 4조 1위1969년 11월 4일4196644위 (1966)
루마니아유럽 예선 1조 1위1969년 11월 16일4193811라운드 (1930, 1934, 1938)
이탈리아유럽 예선 3조 1위1969년 11월 22일719663우승 (1934, 1938)
체코슬로바키아유럽 예선 2조 1위1969년 12월 3일619621준우승 (1934, 1962)
불가리아유럽 예선 8조 1위1969년 12월 7일319663조별 리그 (1962, 1966)
이스라엘아시아·오세아니아 최종 예선 승자1969년 12월 14일1첫 출전1첫 출전

3. 예선 주요 사건 및 특이사항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여러 가지 주요 사건 및 특이사항들이 있었다.

엘살바도르온두라스197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 맞붙었는데, 이 경기는 축구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엘살바도르는 이후 온두라스와 아이티를 플레이오프에서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 참가했지만, 호주일본에 밀려 조 2위로 2차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차 라운드에서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하며 기권했다.

3. 1. 축구 전쟁 (엘살바도르 vs 온두라스)

1969년, 엘살바도르온두라스197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 맞붙었다. 당시 양국은 정치적, 경제적 갈등을 겪고 있었는데, 이 경기는 '축구 전쟁'으로 불리는 실제 전쟁으로 이어지는 도화선이 되었다.

엘살바도르는 온두라스와의 2차 예선에서 1승 1패를 기록,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에서 엘살바도르는 온두라스를 3-2로 꺾고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엘살바도르2210131+2
온두라스2210113-2



최종 라운드에서 엘살바도르는 아이티와 1승 1패를 기록, 다시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엘살바도르는 아이티를 1-0으로 꺾고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아이티2210142+2
엘살바도르2210124-2



비록 엘살바도르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지만, 축구 전쟁으로 인해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3. 2.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예선 참가

대한민국은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 참가하여 호주, 일본과 한 조에 속했다. 대한민국은 호주와 일본에 밀려 조 2위로 2차 라운드 진출에 실패하였다.

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4412165+1
일본2402248-4
호주6422074+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같은 지역 예선 2차 라운드에서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하며 기권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스라엘4220060+6
뉴질랜드0200206-6


4. 득점 선수

1970 FIFA World Cup qualification영어에서는 많은 선수들이 득점을 기록했다. 브라질토스탕이 10골로 최다 득점을 기록했고, 서독게르트 뮐러가 9골로 그 뒤를 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